[팩트인뉴스=정다운 기자]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3위를 달리고 있는 SK하이닉스가 1조 6800억원을 투입해 LNG(액화천연가스) 열병합 발전소 2기를 건설하기로 했다. 완공되면 발전 규모가 1GW(기가와트)가 넘는 대형 발전소가 생기는 것이다.


이를 두고 반도체 업계에서는 SK하이닉스가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으로 전력 수급이 불안정해지고 산업용 전기 요금이 인상될 것으로 우려해 선제 대응이 나서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5일 SK하이닉스에 따르면 오는 2022년까지 경기도 이천시 청주 공장에 각각 발전규모 570㎿(메가와트)인 발전소를 건설한다고 밝혔다. 이는 1기당 발전용량이 월성 원전 1호기(670㎿)와 맞먹는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전력은 모두 이천과 청주 반도체 공장에서 쓰인다.


SK하이닉스 측은 “신규 발전소에서 만드는 자가 전략으로 반도체 공장의 소비 전력 절반을 충당하고 나머지는 현재처럼 한전에서 공급받겠다”고 말했다.


반도체 업계의 한 관계자는 SK하이닉스의 발전소 건설에 대해서 “한국은 전력 수급이 세계 어느 나라보다도 안정적”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SK하이닉스가 거액을 들여 자체 발전소를 만드는 것은 결국 향후 전력 수급에 대한 불안감 때문이 아니냐”고 말했다.


정부의 탈원전 정책은 원자력 발전을 줄이는 대신 태양과과 풍력과 같은 친환경 재생에너지 발전을 늘리는 것이다. 하지만 재생에너지는 원전에 비해 발전 안전성이 크게 떨어지는데다가, 태양광 발전은 날씨가 흐리거나 바람이 강하게 불면 전력 생산량이 훅 떨어진다. 즉, 매일 균등한 전력량 확보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거기다가 산업용 전기 요금은 인상될 가능성도 높다. 한전은 물론, 정부와 여당도 산업용 전기 요금이 지나치게 싸다는 주장을 하면서 ‘요금 인상’에 힘을 실고 있기 때문이다.


심지어 김종갑 한국전력 사장은 “지나치게 싼 산업용 심야 요금이 기업의 에너지 과소비를 부추기고 전력 소비 시장을 왜곡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하지만 SK하이닉스 측은 이번 발전소 건설과 탈원전 정책과는 어떤 상관관계도 없다고 선을 그으면서도 “반도체 공장은 1초라도 전력 공급이 중단되면 수백억원의 손실을 볼 수 있다. 이런 상황을 막고 경제성도 끌어올리기 위해 자체 발전 설비를 마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제공 뉴시스>


저작권자 © 팩트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