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인뉴스=김철우 기자]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연간 11조5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으로 인한 진료비 지출도 3년 사이 1조5000억원이상 올라 정부 차원의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10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비만의 사회경제적 영향’ 연구결과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11조4679억원으로, 같은 해 국내총생산(GDP)의 0.7% 수준이다.


사회경제적 비용은 비만과 관련한 질병으로 의료기관을 방문할 때 소비되는 진료비 등 직접 비용과 비만으로 인한 조기 사망으로 얻지 못하는 미래 소득과 같은 간접비용을 모두 합한 금액이다.


항목별로 비용을 살펴보면, 의료비에 의한 손실규모가 5조8858억원으로 전체 51.3%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비만으로 인한 업무 능률 저하(2조3518억원, 20.5%), 질병 치료로 인한 직장 결근(1조4976억원, 13.1%), 조기사망으로 인한 손실(1조489억원, 10.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비만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질병별 손실비중에서는 당뇨병이 2조624억원(22.6%)으로, 손실규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고혈압(1조9698억원, 21.6%), 허혈성심장질환 (7925억원, 8.7%), 관절증(7092억원, 7.8%) 등이 이었다.


보건복지부 정영기 건강증진과장은 “비만 관련 의료비가 최근 3년 도안 1조5000억원이상 늘어나는 등 비만에 따른 국가적 손실이 커지고 있다”며 “비만은 고혈압과 당뇨 등 각종 성인질환을 유발하므로 평소 예방·관리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연령별 손실규모에서는 50대가 26.8%로 가장 큰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60대(21.2%), 40대(18.2%), 70대(15.9%), 30대(7.9%), 80대 이상(7.3%) 등의 순으로 규모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 30~50대와 고혈압 및 당뇨병에서 높은 손실비중이 나타났다는 것을 통해 비만이 생산가능인구의 건강을 저해하고, 만성질환 진료비 증가에 기여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소득과 재산이 반영된 건강보험료 분위에 따른 의료비 손실비중에서는 소득이 가장 낮은 0분위에서 손실비중이 가장 크고, 1분위부터 손실비중이 감소하다가, 비교적 고소득층에 속하는 14분위부터 다시 증가하는 ‘U자형’ 패턴을 보였다.


고도비만 이상을 제외한 과체중과 비만에서는 ‘20분위’의 손실비중이 ‘0분위’의 손실비중을 조금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국 17개 시·도 간 1인당 비만 의료비 손실 차이도 크게 나타났다.


전라남도가 33만7844원으로 지출 비용이 가장 컸고, 다음으로 전라북도 32만4930원, 부산광역시 31만5820원, 강원도 30만6650원 등의 순으로 비수도권 지역의 지출 비용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서울은 25만1762원으로 가장 적었으며, 지출이 가장 컸던 전남보다 8만6082원이 적었다. 경기와 인천은 각각 25만3493원, 27만1578원을 기록했다.


연구를 수행한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이선미 연구위원은 “수도권보다 비수도권에서 비만 의료 손실이 많은 것은 노인 인구가 많은 것 외에 생활수준 등이 영향을 미쳤는지 연구해봐야 할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사진제공=뉴시스]


저작권자 © 팩트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