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팩트인뉴스=임준하 기자]해외 원전 수주 없이 탈원전 정책이 계속되면 2030년까지 원전 산업 인력 1만명 이상이 일자리를 잃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2월 딜로이트와 에너지경제연구원에 원전 산업 생태계 개선방안과 원전 기술인력 수급 및 효율적 양성체계, 원전지역 경제활성화에 대한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산업부는 탈원전으로 원전 관련 산업과 지역이 위축될 수 있다고 보고 보완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연구용역을 발주했다고 전했다.


이 보고서는 탈원전으로 향후 원전 수가 감소하면 원전시장이 축소되고 업체들이 원전사업에서 이탈할 가능성 높은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국내 원전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전제로 해외 원전 수주 여부에 따라 4개 시나리오로 구분해 전망했다.


원전 수출 없이 탈원전을 진행하는 시나리오 1에서는 인력 수요가 올해 약 3만9000명에서 2030년 2만6700명으로 약 1만2000명 감소한다.


사우디 원전 2기와 소형 원자로 2기를 수주하는 시나리오 2에서는 인력 수요가 2022년 4만2500명에 도달한 뒤 2030년 2만7100명으로 떨어진다.


사우디에 더해 영국 원전 2기를 수주하는 시나리오 3에서는 2022년 4만3700명까지 증가했다가 2030년 2만9800명으로 감소한다.


사우디, 영국, 체코와 폴란드에서 각 2기를 수주하는 시나리오 4에서는 2026년 4만6300명까지 늘었다가 2030년에 올해와 비슷한 3만9500명 수준으로 떨어진다.


보고서에 따르면 시나리오 4를 제외한 모든 경우 2023년부터 인력수요 감소가 시작되고 2025년부터 올해 인력수요보다 적어진다. 2030년에는 원전산업 인력 4명 중 1명이 일자리를 잃는 셈이다.


다만, 보고서는 현재 수준의 신규 채용을 유지하더라도 자연스럽게 감소하는 인력을 고려하면 탈원전 영향 없이도 2030년에는 3만 수준으로 인력수요가 감소한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원전 관련 업체를 대상으로 원전산업 이탈 의향을 조사했다.


원전산업을 유지하겠다는 답은 설계 0%, 시공 27%, 보조기기 33%, 예비품 17%, 정비서비스 25%로 나타났다.


이탈하겠다는 기업은 설계 9%, 나머지 분야 0%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마지막으로 원전 안전 운영을 위해 필요한 기자재?서비스 분야 기업과 원전 수출 관련 기업들을 선별해 지원할 것을 제언했다.


한편, 산업부는 3일 보도해명자료를 통해 “보고서는 수출이 안 될 경우 장기적으로 인력 수요가 감소한다는 내용이지만 현재 재직 중인 근로자가 일자리를 잃는다는 의미가 아니다”라며 선을 그었다.


이어 “정부는 사우디, 영국 등에 대한 원전수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상외교, 원전수출전략협의회, 양자 경제협력 등을 통해 범정부차원에서 원전수출을 적극 추진 중”이라고 강조했다.


산업부는 “경제 전체적으로 볼 때 에너지 전환으로 원전 부문에서 만약 일자리가 감소하더라도 재생에너지 부문에서 증가하는 일자리(2022년까지 14만4천명 고용창출 효과)가 더 클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현재 탈원전 정책을 유지하면서 해외 원전 수출로 침체된 원전산업을 살리겠다는 전략을 갖고 있다.


하지만 관련 업계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해외 수출에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결정적 결격 사유는 아니라도, 경쟁 과정에서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녹생경제가 인용 보도한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조건이 까다로워진 영국 사업은 실적 쌓기 외에는 큰 메리트가 보이지 않지만, 사우디 사업은 이 정도 큰 규모의 사업이 큰 규모의 사업이 당분간 나오기 힘들기 때문에 수주에 실패하면 원자력 업계에 미치는 타격은 작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사진제공=뉴시스)


키워드

#탈원전
저작권자 © 팩트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